안녕하세요! 오늘은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기본 중의 기본인 자료형에 대해 공부해볼 거예요. 😃
자료형은 데이터를 다룰 때 사용하는 형태를 말하는데, 숫자, 문자열 등 다양하게 나뉘죠.
특히, 파이썬에서는 자료형의 유연함이 큰 장점인데요. 오늘은 그중에서도 숫자형과 문자형을 깊이 파헤쳐보겠습니다.
1. 숫자형 자료형
숫자형은 말 그대로 숫자를 다룰 때 사용하는 자료형입니다.
파이썬에서는 숫자형이 총 4가지로 나뉩니다:
종류 | 예시 | 설명 |
정수 | 123, -456, 0 | 음수, 양수, 0 |
실수 | 3.14, -2.71 | 소수점을 포함한 숫자 |
8진수 | 0o34, 0o25 | 0o를 붙여 8진수 표기 |
16진수 | 0x2A, 0xFF | 0x를 붙여 16진수 표기 |
정수형
정수형은 소수점 없이 표현되는 양수, 음수, 0을 말합니다.
>>> a = 12
>>> b = 0
>>> c = -124
>>> print(a,b,c)
12 0 -124
실수형
실수형은 소수점이 포함된 숫자입니다.
>>> a = 1.2
>>> b = -3.2
>>> print(a+b,a,b)
-2.0 1.2 -3.2
8진수와 16진수
그리고 8진수와 16진수는 사실 잘 안쓰이기도 해서
8진수는 0o 를 사용하고 16진수는 0x를 사용한다고만 알고 있어도 무방할 것 같다.
2. 숫자형 자료형
파이썬에서는 다양한 연산자를 활용해 숫자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자주 사용하는 제곱 연산자와 나눗셈 연산자를 살펴볼게요.
제곱 연산자
먼저 파이썬에서의 제곱을 구하는 방법은
** 연산자를 사용하는 것이다.
즉, 2**3 이라고 하면 2^3 그러니까 "8"이되는 것이다.
>>> a = 2
>>> b = 3
>>> a ** b
8
나눗셈 연산자
나누기는 몫 그리고 나머지로 나뉘는데 연산자의 설명은 하기 표와 같다
연산자 | 설명 | 예시 |
/ | 일반 나눗셈 | 7 / 3 = 2.3333 |
// | 몫만 반환 | 7 // 3 = 2 |
% | 나머지만 반환 | 7 % 3 = 1 |
>>> 7/3
2.3333
>>>7//3
2
>>>7%3
1
이렇게 숫자형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점프 투 파이썬에서 내준 예제 문제 2개를 풀어보자
실습 문제
1. 다음 식을 계산하세요: 10x18^2 +2x11 을 계산해보자.
여기서 x = * 로 치환하고, 제곱은 ** 연산자를 사용해주면된다
>>>10*18**2+2*11
3262
2. 14를 3으로 나누었을때 몫과 나머지를 구하세요 :
아까 배운대로 몫은 // 연산자를 나머지는 %연산자를 사용하면 된다.
>>>a = 14//3
>>>b = 14%3
>>>print("몫 =" , a, "나머지 =", b)
3. 문자형 자료형
문자형은 텍스트 데이터를 다룰 때 사용하는 자료형입니다. 파이썬에서는 4가지 방법으로 문자열을 정의할 수 있습니다:
종류 | 예시 |
큰따옴표 | "Hello world" |
작은따옴표 | 'Hello world' |
큰따옴표 3개 | """Hello world""" |
작은따옴표 3개 | '''Hello world''' |
뭐가 이렇게 많은가.. 그저 문자열 하나 세팅하는건데..
근데 공부를 하다보니까 다 쓸 일이 있더라.. ㅋㅋㅋㅋ
문자열 안에 따옴표 넣는 방법
문자열을 여러 줄로 나누는 방법은 문장에 있는 따옴표 외에 다른걸 사용 하거나 이스케이프 코드 를 사용하는 방식이 있습니다.
1. 어퍼스트로피(') 가 포함된 문자열의 경우
예시로 Choi's blog 를 문자열에 포함하고자 할때 작은따옴표를 사용하면
이런식으로 오류가 뜨게 된다.
고로, "Choi's blog" 혹은 3개씩 사용하는 문자열 세팅을 진행해야 문자열 생성이 된다.
2. 대화형( "" )가 포함된 문자열의 경우
"Welcome to my blog" she says. 에 큰따옴표를 사용하게 되면
또다시 오류를 볼수 있게 된다.
이런경우 작은따옴표를 사용하거나
3. 이스케이프코드 (역슬래시) 를 이용해서 문자를 넣을수 있다.
예를들어 "Welcome to Choi's blog" she says 를 npc 라는 변수에 넣고싶으면
>>> npc = " \"Welcome to Choi\'s blog\" she says"
>>>print(npc)
"Welcome to Choi's blog" she says
이런식으로 넣을수는 있지만 가독성이 좋지 않아서 잘 사용하지 않는듯 하다.
이것보다 따옴표 3개로 하는것이 가독성에 좀더 유리 할 것으로 사료된다.
줄 바꿈 처리
문자열을 여러 줄로 나누는 방법은 이스케이프 코드와 따옴표 3개 방식이 있습니다.
1. 이스케이프 코드인 \n을 삽입한다.
>>> twoline = "hello \n wolrd"
print(twoline)
hello
world
이스케이프 코드란 프로그래밍할때 사용할 수 있도록 미리 정해둔 문자 조합이다.
여러가지가 있지만 자주 쓰는건
\n - 줄을 바꾼다
\t - 탭(스페이스4개 간격) 간격을 준다
요렇게 두가지라고 보면된다.
2. 연속된 작은따옴표 혹은 큰따옴표 3개 사용하기
>>> twoline = """
hello
world
"""
>>> print(twoline)
이런식으로 여러줄의 문자열을 변수에 대입할 수 있다.
다음에는 문자열 길이를 구하는 방법을 이야기 해보자
엄청 간단하게 함수를 한번쓰면되는데
len 함수를 사용하면 간단하다.
>>> a = "hello world"
>>> len (a)
11
여기서 생각해야 할 점은 띄어쓰기도 문장의 길이에 포함이 된다는걸 인지하고 있어야 할듯 하다.
내일은 문자열 인덱싱 부터 슬라이싱 포매팅 등 문자열 마무리를 할 예정입니다!
그럼 저의 파이썬 독학 이야기가 궁금하시다면 구독 부탁드립니다!
'파이썬 독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독학 6일차] 파이썬 듀플과 리스트 차이점 공부하기 듀플의 인덱싱, 슬라이싱 완벽 가이드 (0) | 2025.02.16 |
---|---|
[파이썬 독학 5일차] 파이썬 문자열 완전 정복! 인덱싱, 슬라이싱,포매팅 완벽 가이드 (0) | 2025.01.24 |
[파이썬 독학 3일차] 파이썬 기초 문법 따라해보기 ( if,for,while) (0) | 2025.01.21 |
[파이썬 독학 2일차] 독학을 위한 교재 선정 및 파이썬이란 무엇인가? (0) | 2025.01.20 |
[파이썬 독학 1일] 파이썬 설치 방법 (0) | 2025.01.19 |